건강

[환공(absoult)]감기약의 진실과 작용 ( 1탄 소염제 ) - 펀글

수암11 2010. 12. 24. 00:05

[환공(absoult)]감기약의 진실과 작용 ( 1탄 소염제 ) - 펀글

2010.12.23 11:31

http://cafe.naver.com/bdseokmun/526

* 감기약의 진실과 작용

주로 감기걸리면 사람들은 감기약을 먹습니다. 증상이 머리도 아프고 기침도 하고 몸이 불편하고 스트레스도 쌓이도 생활리듬도 깨져서 감기약을 찾습니다.

주로 먹는 감기약의 진실과 작용을 알려드리겠습니다.

1. 해열소염진통제 : 아스피린. 타이레놀(아세트아미노펜), 브루펜(프로펜) , 뒤에 펜이 붙은 것은 소염진통제에 속합니다. 소염제는 방부제입니다.

-작용: (1) 타이레놀 : 주로 고통을 줄여주고 열을 내리는 작용이 강하고 간독성을 가지고 있어 약성이 좀 강한편입니다.

열이 많은 경우에 빠른 작용과 신경계 고통을 줄여줌으로써 효과가 좋습니다.(pain killer)

그러나 그에 해당하는 부작용이 알게 모르게 몸에 스며들며 몸의 면역성과 체온을 떨어트립니다.. ( 화극금작용)

과다섭취하시면 몸이 매우 허약해지시니 정말 아플 때만 드세요~

(2) 브루펜(프로펜): 몸의 해열작용을 돕고 수분을 바깥으로 배출하는 작용이 있습니다.작용이 타이레놀 보다 느린 편이지만 그래도 순서적인 반응으로 염증과 고통을 줄여주는 안정성을 가지고 있습니다.

몸의 습을 빼서 소염과 고통을 내리는 역활을 작용하기 때문에 아이들한테 안정성 있을 만큼 해열작용이 좋습니다. 몸의 습이 빠지는 작용이 있어서 자주 드시면 몸이 기운이 없습니다. 그러나 뭉치는 증상보다 몸이 이완되는 현상도 있습니다. 장점이자 단점입니다.

양의학, 약리학상 이약은 아스피린처럼 항노화작용을 하는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반드시

좋은 점과 부작용이 있다는 것을 잊지 마세요^^)

(3) 아스피린: 아스피린은 이 세상에 많이 팔린 소염진통제로 효과도 좋습니다. 효과는 타이레놀보다 작지만 거의 비슷한 성질을 가지고 있습니다. 그러나 위산이 과다하게 나오는 현상과 피를 묽게 만드는 성질 때문에 심혈관계 질환에도 많이 쓰이는 약입니다(장에서 녹는 아스피린-장용정) - 화극금

오래먹으면 몸의 열이 떨어지고 몸이 면역력이 낮아집니다. 이 또한 양의학상 항노화작용이 있다고 나왔습니다.

*항노화작용 : 노화는 산소가 타서 작용을 합니다. 불의 힘처럼 온도가 올라가는 현상이 있습니다.

몸의 불기운을 제거 하면 당연히 노화작용이 줄어듭니다. 온도가 내려가면 산소가 잘 안탑니다.

반대로 온도가 올라가면 산소가 잘 탑니다. 빈혈도 없어집니다.. 그만큼 몸의 순환이 안 되고 몸의 노폐물이 많아지고 안보이게 세포순환이 안됩니다. 이것이 몸을 안 썩게 하는 방부입니다. 좋다고 볼 수는 없습니다.

그럼 몸이 음형으로 변하여 알수 없는 노폐물이 쌓이고 잘 안 나갑니다. 점점 물질화 된다고 보시면 됩니다.

몸이 타고 순환되고 썩고 배출되고 이런 순서가 몸의 순리인데 중간에 억지로 차단하면 그만큼 몸의 찌꺼기가 생깁니다.

*개인의견 : 증상이 심하셔서 감기약을 드셔야할 일이 있으신 분은 개인적인 소견으로 브루펜을 권장합니다. 부작용이 적어요.

한약으로는 브루펜과 같은 작용을 하는 약이 있습니다. 칡입니다. 갈근탕이라고 합니다.

갈근탕은 몸의 습을 빼주고 해열 소염작용을 합니다. ( 초기감기에 아주 잘들어요~)

칡즙도 도움이 많습니다.

[출처] 감기약의 진실과 작용 ( 1탄 소염제 ) (비공개 카페)

감기약의 진실과 작용( 2탄 항히스타민제 --콧물, 알레르기 ) 과 면역력

2010.12.23 16:04

환공(absoult)

http://cafe.naver.com/bdseokmun/527

* 감기약의 진실과 작용

주로 감기 걸리면 사람들은 감기약을 먹습니다. 증상이 머리도 아프고 기침도 하고 몸이 불편하고 스트레스도 쌓이고 생활리듬도 깨져서 감기약을 찾습니다.

주로 먹는 감기약의 진실과 작용을 알려드리겠습니다.

2. 항히스타민제 : 클로로페니라민말레이산염( 콘택600) , 염산세트리진 , 슈도에페드린 일상적으로 3가지를 콧물약과 알레르기약으로 주로 쓰입니다.

항히스타민제는 길항제로 약과 약 사이에 병용되는 작용을 약하게 해주거나 감소시켜주는 작용을 합니다.

항히스타민은 몸의 혈액 안에 히스타민이라는 작용(과민작용) 을 억제하는 작용 입니다.

- 작용 : (1) 클로르페니라민 : 일반적으로 페니라민계열약은 항히스타민작용이 강력합니다. 강할수록 부작용도 큽니다. 일반적부작용은 다량 투여했을 시에 반탄력에 의하여 몸이 고열이 발생합니다.

많은 졸음과 수면작용을 해서 일상적으로 감기약의 주된 성분이었습니다. 지금은 부작용으로 아주 소량만 사용합니다.

(2) 염산세트리진 : 알레르기성 비염과 초기감기 콧물 약에 쓰이는 약으로 졸음은 페니라민계열약 보다 적고 약성은 꾸준한 편입니다. 요즘 들어 많이 쓰이는 콧물약입니다.(졸음이 많지가 않습니다)

(3) 염산 슈도에페드린 : 슈도에페드린은 히스타민효과보다 교감신경 흥분작용과 혈관확장 작용이 강합니다.

마황에서 추출하고 기관지 확장효과작용이 강하여 천식치료에도 쓰입니다.

단일처방보다 콧물이 나올경우 항히스타민제와 합방으로 사용하면 좋은 효과를 나타냅니다. 이약은 미량의 마약성분을 함유하고 있습니다.

* 개인의견 : 증상이 심하셔서 감기약을 드셔야할일 있으신분은 염산세트리진과 에페드린이 합방되어있는 약을 권장합니다.

페니라민계열은 몸이 너무 졸리고 약에 대한 내성이 강해져서 다음에 먹을때는 잘 안들어요.

히스타민작용은 면역력이 떨어져서 몸이 과민 반응하는 작용으로 매우 자연스런 반응입니다. 몸의 면역력이 떨어지면 몸의 방어체계가 발동하는 것이 히스타민입니다. 그래서 히스타민작용을 안 나오게 면역력을 높이는 게 더 좋은 방법입니다.

개인적인 생각으로는 몸이 콧물이나 알레르기반응을 할 때에 심하면 약성이 약한 히스타민제를 복용하시고 작용이 약해지면 몸의 면역력을 높여주는 방법을 이행해주시면 좋습니다. 면역력이 떨어지면 소화력이 떨어지니 소화제나 소화가 잘되는 음식을 권장합니다.( 마늘, 생강이 많이 든 음식 )

--몸의 면역력을 올려주는 방법--

1. 몸의 온도를 올려줘야 합니다.( 따뜻하게 유지 )

2. 몸에 가까운 온도의 수분을 꾸준히 하루정도 충분히 섭취합니다 . (찬물안됩니다)

3. 포도당이 있어야합니다. 당섭취 ( 쌀과 현미 ) 에너지공급을 해야합니다. (소화가 잘되는 음식 )

4. 비타민b군 c군 지용성비타민a,e군 모두 많이 필요합니다.

5. 살짝 땀을 낼수있는 행공이나 목욕이 좋습니다. ( 오랜 시간을 하면 몸의 진액이 빠져 다시 채워야하니 적당히 )

6. 충분한 수면시간

7. 면역력이 떨어져있는 기간에 소화가 잘되는 음식을 드셔야합니다.

감기약의 진실과 작용 ( 3탄 진해거담제 )

2010.12.23 18:13

환공(absoult)

http://cafe.naver.com/bdseokmun/528

* 감기약의 진실과 작용

3. 진해거담제 : 진해거담제는 진해(기침)제 , 거담(가래)제, 기관지 확장제로 이루어집니다. 가장 많이 먹는 것이 진해제와 거담제입니다. 대표적인 약으로 진해제는 덱스트로메트로판 거담제는 (뮤코란) 정도로 알고계시면 됩니다.

- 작용 : (1) 진해제 : 진해제는 중추신경에서 기침을 못하게 하는 약물로써 거의 모든 약들이 마약성 약들로 되어있습니다.

오래 복용할 경우 중추신경계통에 당연히 문제가 됩니다.

(덱스트로 메트로판) 은 가장 많이 쓰인 약물로 지금은 잘 쓰진 않지만 소량 투여합니다.

(2) 거담제 : 뮤코란( 아세틸시스테인) 뒤에 시스테인 붙은 것은 모두 거담제라는 뜻입니다.

거담제는 가래를 점성을 낮추어서 기침을 통해서 배출하기 용이하게 합니다.

점성을 낮추는 효과뿐만 아니라 소염작용과 항산화 작용을 합니다.

이약은 미국에서 항산화제로 유명세를 탔고 건강식품으로 사람들이 알게 모르게 사고 먹는 약입니다.

간폐세포의 활성화를 돕고 생합성에 도움을 준다고 합니다.

* 개인의견 : 증상이 심하셔서 기침 가래약을 드실 경우가 생기시면 뮤코란만 드시는 것을 권장합니다.

원래 기침 가래약들은 중추신경약과 거담제로 나뉘지만 두가지약모두 성능이 잘 안 나옵니다.

먹어도 거기서 거긴 것 같은 게 대부분입니다. 뮤코란은 타이레놀의 독성을 중화시켜줘서 같이 처방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분명 양약보다 생명력 있는 음식을 드셔서 치료하시는 것이 더 좋습니다. 좋은 음식으로는 배, 도라지, 참마, 그리고 면역력이 올라가면 자연적으로 기침가래가 멎습니다.

--모든약은 독입니다. 그러나 정말 쓸때 쓰면 약이지요. 모든 도반분들이 잘 선택하여서 약과 독을 구별해서 드시기 바랍니다.--

[출처] 감기약의 진실과 작용 ( 3탄 진해거담제 ) (비공개 카페)